AWS (총 68개)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 ElasticBeanstalk 란? ElasticBeanstalk- 보통의 웹서비스를 배포하는 과정은 1) EC2 생성 2) 미들웨어 설치 및 설정 3) Database 설치 및 설정 그리고 구축 4) 신뢰성을 위한 서버 확장 및 부하분산을 위한 로드밸런싱 정도로 진행이 된다 ElasticBeanstalk는 배포할 어플리케이션만을 구축하면 이러한 모든 과정을 알아서 진행해준다 - 개발자인 사용자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을 알아서 해주는 서비스 과금- ElasticBeanstlk를 사용하는 비용은 따로 들지 않는다 하지만 인프라 구축시 사용되는 AWS의 서비스들 (VPC, EC2, Loadbalancer ,RDS...) 등에 대한 과금은 이루어진다 구조1. Application- 인프라와 그위에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 AWS - EC2의 내결함성 향상을 위한 Secondary IP 부여하기, NIC 추가 EC2의 내결함성 향상을 위한 Secondary IP 부여하기, NIC 추가 Secondary IP란?- http://galid1.tistory.com/379 Secondary IP 부여하기1. 생성1) Secondary Private IPs 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2) EC2 서비스의 좌측 NETWORK & SECURITY 메뉴의 Network Interfaces 탭을 클릭한다3) Secondary Private IP를 부여할 Network Interface를 선택한 뒤 Actions를 클릭하고 Manage IP Addresses를 클릭한다. 4) Assign new IP를 클릭한다5) 원하는 Secondary IP를 입력하고 Yes Update를 클릭한다.*공란(Auto-assign)으로 두고 .. AWS - Lambda 기본 사용법(Hello World출력) Lambda 기본 사용법(https://hyunseob.github.io/2017/05/27/aws-lambda-easy-start/)Hello World 출력1. Labmda Function 생성1) Lamda 서비스의 좌측 Functions 탭을 클릭한뒤 Create Function을 클릭한다 2. BluePrints 선택- Blue Print는 AWS에서 제공하는 Lambda 템플릿이다 1) BluePrints를 클릭한뒤 hello를 검색한다2) 검색결과로 나오는 hello-world-python3 을 선택한다3) Configure를 클릭한다 3. 기본설정Name : Lambda Function을 구분할 이름Role : Lambda에서 AWS 서비스를 필요로할때의 역할 부여Existing Role .. AWS - AutoScaling 서비스 및 테스팅(부하발생기) AutoScaling 서비스- Cloud Watch서비스와 혼용하여 부하 또는 특정 상황에따라 인스턴스의 수를 증감할 수 있는 서비스 고려사항1. 급격한 부하증가CloudWatch를 통해 부하를 감지하여 AutoScaling하여 부하를 처리하는데 까지 5분정도의 시간이 걸린다일시적으로 부하가 급격히 증가하는 서비스에서는 미리 예측하여 스케일업 또는 아웃을 해주어야한다하지만 보통의 경우 이를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2. Session유지로드밸런서와도 관련이 있는 내용이다 Instance A에서 웹서비스를 받는 도중 새로고침 또는 다른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행동을 취했을 때 Instance B로 로드밸런싱이 되었다면 사용자는 이전 상태를 계속해서 잃어버릴 것이다이때.. AWS - LoadBalncer 이용 WebServer Loadbalancing하기 LoadBalncer 이용 WebServer Loadbalancing하기 시나리오1. 목표- Load Balancer를 통해 Private Subnet에 존재하는 웹서버들에게 Load balancing을 제공한다- 웹서버 구축시 Bastion Host를 이용한다 2. 목표 인프라 실습1. VPC생성 및 EC2 생성 (Bastion Host구성)http://galid1.tistory.com/365 2. NAT Gateway이용 Private Subnet 인터넷 연결NAT Gateway이용 방법 - http://galid1.tistory.com/367 3. WebServer 구축https://galid1.tistory.com/264- bastion 호스트를 통해 private subnet에 존재하는 인스턴스.. AWS - NAT Gateway를 통한 Private Subnet 인터넷연결 NAT Gateway를 통한 Private Subnet 인터넷 연결 시나리오1. 목표- NAT Gateway를 Public Subnet에 두고 Private Subnet 인스턴스들을 NAT Gateway로 라우팅한다 Public Subnet에 존재하는 인스턴스들은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Private Subnet의 인스턴스들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에서 Private Subnet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NAT Gateway에서 포트포워딩을 해주지 않는 이상은 불가능하다. 중요한 점은 NAT Gateway에서는 포트포워딩을 지원하지 않는다 포트포워딩을 원하는 경우 NAT Instance를 사용해야한다. 2. 목표 인프라 *NAT Instance와 NAT Gateway의 차이- 중.. AWS - Bastion Host를 통해 PrivateSubnet 내의 Host 관리하기 Bastion Host를 통해 PrivateSubnet 내의 Host 관리 시나리오1. 목표-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한 Private Subnet에 접근하기위해 Public Subnet에 Bastion Host를 두어 Bastion Host를 통해 Private Subnet에 접근한다 어떻게?- Bastion Host를 통하여 접근한다면 직접 접근하는것과 다른것이 무엇이냐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 접근하는 것과 BastionHost를 통해 접근하는 것은 극명한 차이가 있다 Bastion Host를 통해 접근하게 한다면 Bastion Host에서 특정 IP만이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Private Subnet에 있는 인스턴스들도 같은 설정을 해주면 되지않나?- 한곳에서 모든 접근을 관리하므로써 관.. AWS - S3 수명주기 관리 ,Glacier 로 아카이빙 - 수정필요(리사이클 정책 설정과정) S3 객체 수명 주기- S3에 저장된 객체중 일정시간동안 변경이 없는 객체에 대해 저장정책을 지정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가 정의한 수명주기 정책에 따라 사용빈도가 낮아진 데이터를 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엑세스 속도가 낮은) 스토리지로 자동으로 옮긴다 과금- 보관을 위한 저장공간비용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므로 대역을 사용한 비용- 버킷에 객체를 업로드하는 것은 비용지불을 하지 않는다 아카이빙(Archiving)이란?- 운영중인 시스템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데이터를 파악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옮기는 프로세스 Storage Class- S3는 Storage를 클래스별로 나누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준다- Storage class별 과금 : https://a..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