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er Science)/Network (총 43개) 썸네일형 리스트형 Network - TransPort 계층 - 수정중(Segment 헤더 구조만 수정하면 됨) TransPort 계층이란?- 서로 다른 호스트(PC)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들 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프로세스들이 동작하고 있는 호스트(PC)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것처럼 보인다는것을 의미) - 트랜스포트계층 프로토콜은 송신측 : 어플리케이션계층의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계층까지 메시지를 운반하며(다중화) 수신측 : 네트워크계층에서 어플리케이션 계층까지 메시지를 운반한다(역다중화) - 송신측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세그먼트로 변환한다 => 메시지를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트랜스포트 계층 헤더를 추가 - 트랜스포트 계층은 직접 프로세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중간의 소켓에게까지만 메시지를 전달한다. 소켓- 하나.. Network - Application 계층) HTTP 프로토콜 - 수정중 (메소드) HTTP프로토콜이란- Client와 Server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TCP/IP 80번 PORT를 사용 특징이자 단점?- FTP, TELNET 등과 다르게 비연결형이다(Stateless) 다시말해 사용자들에 대한 세션을 유지하지 않는다 때문에 방금 인증했던 사용자를 구분할 방법이 없다. =>서버가 수 많은 클라이언트 들과 연결을 유지하면 해당 세션을 관리하기도 어렵고 서버에 부하가 걸리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을 해두어도 사용자가 HTML을 응답받으면 모두 읽는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통신을 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얼마 되지않기 때문에 서버는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나면 연결을 바로 끊어서 다음요청을 기다리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쿠키- stateless.. Network - Application 계층 운영체제 용어에서 실제 통신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아니라 프로세스 이다. 프로세스간 통신방법(자세한 내용은 운영체제 카테고리 포스팅에서)1. 메시지 전달기법2. 공유메모리 서로다른 종단간 프로세스 통신- 서로 다른 종단간의 프로세스의 통신 즉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종단간의 프로세스 통신은 메시지 전달 기법을 통해 이루어 진다.-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에서 서로 메시지를 보내는 두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소켓- 프로세스는 소켓을 통해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 소켓은 호스트의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트랜스포트 계층간의 인터페이스이다.- 수신 프로세스를 구별하기 위해 1) IP(호스트 주소) 와 2) Port(목적지 호스트 내의 수신프로세스 식별자) 를 필요로 한다 Application .. Network - Physical 계층 실제 다른 단말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송단위 - bit 목적- 동기화 - 대역폭 동기화 *동기화A에서는 1초에 4비트씩 보낸다B에서는 1초에 2비트씩 보낸다이럴경우 A에서 보낸 신호를 B에서는 이해하지 못한다따라서 두 단말의 동기화를 통해 서로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대역폭 동기화송신쪽의 대역폭이 100mbps이고수신쪽의 대역폭이 10mbps이면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쪽에서 모두 수용하기가 어렵다이때 하위 대역폭으로 맞추어준다 프로토콜- RS-232 Network - OSI 7 Layer 와 동작 과정 OSI 7 Layer 정의 - ISO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허용 하기 위해 OSI 참조 모델을 만든 것 이다.- 통신을 위한 전체 과정들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목적(장점)- 어떤 문제로 인해 네트워크 통신이 안되는지 범위를 좁힐 수 있다.- 효율적인 장비 개발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표준화) 구조 7 계층 - 어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6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Presentation) 상위 계층 (논리적) 5 계층 - 세션 계층 (Session) ------------------------------------------------------------------------------- 4 .. Network - Application 계층) DNS 프로토콜 DNS란 – DNS란 도메인을 IP로 변환하거나 IP를 도메인으로 다시 변경해주는 것을 말한다 DNS가 없다면 우리가 외우고 있는 naver.com 등은 소용이 없고 naver.com IP를 외우고 다녔어야 한다. - DN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하위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역할1) 호스트 별칭- 복잡한 호스트네임을 가진 호스트는 하나 이상의 별명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relay1.west-coast.enterprise.com 이라는 호스트는 enterprise.com과 www.enterprise.com 같은 2개의 별칭을 가질 수 있다. 2) 메일서버 별칭 3) 부하 분산- 같은 Domain에 대해서 여러 IP 지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같은 도메인에.. Network - Application 계층) DHCP 프로토콜 *서버를 관리할때에는 - 서버관리자 역할에서 하지말고 시작 -> 관리도구에서 할것 ! DHCP란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한 프로토콜 - IP 자동할당 *DHCP Server Database 1. IP와 MAC를 매핑시켜논 Static Database 2. 유효한 (사용하지 않은) IP address의 Dynamic Database. DHCP Client가 IP address를 요청할 때, 할당할 IP 정보가 담긴 Database이다 *DHCP 동작과정*동작과정 연결수립(브로드 캐스트) 1. 클라이언트가 Discover 메시지를 뿌린다(브로드 캐스트 메시지) *Discover메시지 – Client가 DHCP Server를 찾기.. Network - 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 논리적인 주소(IP)를 물리적인 주소(Mac)으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 이다. -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IP만을 알고있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결국 두 PC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IP가 아닌 MAC주소가 필요하다( PC1에서 PC2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PC1은 PC2의 IP address는 알고 있지만 MAC address를 알지 못한다. 이런 경우, Destination MAC address를 알지 못하면 Layer 2 Header를 완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없다.) 자세히원래 연결된 두 PC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가 아닌 MAC address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게 된다보통 같은 네트워크 내에 있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PC들의 MAC.. 이전 1 2 3 4 5 6 다음